우리는 모두 앞에 닥쳐온 고난을 견뎌내기도 하고 주어진 행복을 만끽하기도 하며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때로는 그 무수한 시간을 보내며 과연 자아의 정체성과 판단에 대해서는 얼마나 되짚고 있을지에 관하여 의문이 들 때가 있다. 지금처럼 사는 것이 진정으로 나다운 삶인 것인지, 가장 나다운 것이라고 생각했던 무언가가 사실은 오판의 결과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어느 순간 일상에서 서서히 사라져가는 자신의 존재성을 자각하면서 기인하게 된다. 윤나 작가는 삶에서 잃어버린 자신을 되찾는 과정을 거치며 자아의 형성 배경과 스스로의 가치 판단에 대한 해답을 예술로서 풀이한다. 그렇게 ‘나’라는 존재의 키워드를 발견하고 본질적인 감정, 시간, 기억 등의 손실이 결국 미디어 매체 및 각종 디지털 장비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알게 된다. 작가는 각종 sns를 통해 개인정보를 노출하며 사람들에게 삶의 일부를 공개하고 사진으로 순간을 기록하며 기억을 저장한다.
작품은 객관적인 시선과 주관적 시선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조연’작품은 사진 속 등장하는 불특정 다수의 인물을 전부 작가 본인의 모습으로 재구현하면서 타인의 위치를 의도적으로 번복하였다. ‘나’는 나를 주관적으로 인식할 수밖에 없기에 작품에서 타인을 비추어 스스로를 다수화하고 주체가 가지는 주연성을 조연이 가지는 보편성으로 탈바꿈한다. 이에 따라 모두가 주인공이자 모두가 조연이 되는 양립성을 가지게 된다. 반면에 주관적 시선으로 진행된 작업은 객관적 시선으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보다 개인적이고 사적인 서사가 배경이 된다. 각각의 작품에서 작가가 평소에 일반적으로 느껴왔던 인간관계의 염증 또는 자기 자신에게 가했던 압박이나 강박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남들을 지나치게 신경쓰면서 스스로를 과하게 통제하려는 현상이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을 알지만 조금의 실수에도 곁을 주지 않는 냉정한 사회 속에서 질타받거나 외면당하고 싶지 않은 심리가 자아를 공격하고 종래에는 이러한 자의식이 사라지게 만든다는 점을 돌아보게 한다. ‘대화의 가치’는 작가가 사람들과 대화할 당시 가장 불편하게 느꼈던 부분을 영수증의 형태로 표현한 작품이다. 사람이 언어를 통해 전달하는 수단을 표정과 키워드, 대사로 분류하여 실제 영수증에서 출력되는 카테고리 형식을 빌려 온 점이 인상적이다. 출력된 영수증 속 대사에서‘기분 나쁘라고 하는 말 아냐’, ‘오해하지 말고 들어’라는 2가지 문장을 확인할 수 있는데 해당 이야기가 실제로 많은 이들에게 언짢은 심리를 유발한다는 점에서 재미를 부여한다. 작가는 객관과 주관의 구조로 표현한 여러 가지의 작업을 시도하며 사회에서 자아가 설 자리와 그 존재에 대해 경각심을 일깨운다.
사람은 전부 저마다 다른 성향과 내면, 외적 요소들을 가진다. 그 누구도 모든 것이 완벽하게 똑같은 이는 없다. 작가는 세상만사에서 배제할 수 없는 인간과 그 인간들의 집단에 소속된 자신이 사람들 사이에 놓이며 벌어지는 각종 상황을 다각도로 조명한다. 더불어 확고한 예술적 취지를 가진 채 우리가 중심을 잃고 남들에게 흔들릴 때마다 희석되어 가는 자아를 모색하고자 한다. 함께하는 것의 소중함과 집단의 도태를 적절히 의식하지만 자기자신에게 주는 관심을 소홀히 할 때마다 소실된 스스로의 일부를 다시 탐색한다. 이번 전시를 관람하며 본인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면 그 속에서 낭비하거나 혹은 소비하고 있는 것들을 돌이켜보고 남겨진 사진이나 기록물을 통해 과연 내가 보관하고 저장하려 했던 것은 무엇이었는지, 그 대상이 자신에 대한 진정성과 부합하는지 깊이 살펴보기를 바란다.
We all live each day enduring hardships that come our way and embracing the happiness given to us. Yet, there are moments when we wonder how often we truly reflect on our identity and judgments while passing through countless hours of life. Questions arise—whether the way we live now is truly our own life, or whether what we once believed to be the most authentic version of ourselves was in fact the result of a misjudgment. Such doubts emerge as we gradually become aware of the fading sense of our own existence in daily life. Through the process of reclaiming the lost self, artist Yunna interprets the formation of identity and personal value judgments through art. In doing so, she discovers the keyword of the “self,” realizing that essential elements such as emotion, time, and memory are ultimately mediated through media platforms and digital devices. By exposing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various social media and sharing parts of her life, she records fleeting moments in photographs and preserves them as memories.
The works can be divided according to objective and subjective perspectives. Among them, the series Supporting Role re-stages all of the anonymous figures in photographs as the artist herself, deliberately replacing the position of others. Since the “self” can only perceive itself subjectively, the work reflects others to multiply the self, transforming the singularity of the protagonist into the universality of the supporting role. In this way, everyone becomes both the protagonist and the supporting character, embodying a dual existence. In contrast, works guided by a subjective gaze often reveal a more private and personal narrative when viewed from an objective standpoint. These works reflect the artist’s feelings of fatigue in human relationships, as well as the pressures and compulsions she has imposed on herself. While recognizing that over-controlling oneself out of excessive concern for others can have harmful effects, she also reflects on the fear of being criticized or excluded in a society that leaves no room for even the slightest mistake. This fear eventually turns inward, eroding self-awareness. In The Value of Conversation, the artist transforms her discomfort during conversations into the form of receipts. By categorizing facial expressions, keywords, and lines of dialogue as though they were items printed on actual receipts, the work leaves a strong impression. Among the printed lines are phrases like “I’m not saying this to upset you” and “Don’t misunderstand me,” which often trigger irritation in many people—adding a layer of irony and humor. Through such works expressed in the dual structure of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the artist raises awareness about the place of the self and its existence within society.
Every individual has their own tendencies, inner world, and external traits. No two people are exactly alike. The artist sheds light on various situations that arise as she, belonging to groups of people that cannot be excluded from life, finds herself caught among them. With a firm artistic intention, she seeks to rediscover the self that is diluted each time we lose our center and become swayed by others. While recognizing both the importance of being together and the potential risks of group alienation, she re-examines the fragments of herself that are lost whenever she neglects self-reflection. This exhibition invites viewers to reconsider what they may be wasting or consuming through social networking services and to reflect on what they truly intended to preserve and store in the photos and records they leave behind—and whether those traces align with their own authenticity.